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한국에서만 부모 돈 없으면 자녀들이 외면"

by 다잡아 2007. 12. 11.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서울=연합뉴스) 윤근영 신호경 이 율 기자= 세계에서 유일하게 한국에서만 부모의 소득이 낮을수록 자녀들의 발길이 줄어든다는 충격적인 조사결과가 나왔다.
가구당 가족 수가 계속 줄어드는데 비해 최근 아파트 공급은 중대형 위주로만 이뤄져 미분양 현상이 굳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제시됐다. 전국 50평이상 대형 아파트의 74%는 직업적 위세가 상대적으로 강한 전문.관리직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인구학회에 따르면 이달초에 열린 이 학회의 후기 학술대회에서는 이처럼 충격적이고 흥미로운 내용의 논문들이 대거 발표됐다.
정재기 숭실대 정보사회학과 교수의 '한국 가족.친족간 접촉빈도와 사회적 지원 양상:국제간 비교' 논문에 따르면 자녀와 동거하지 않는 60세이상 부모의 소득.교육.연령.성별.결혼상태 등 각 속성이 자녀와의 대면(對面) 접촉 빈도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분석한 결과, '소득' 변수만
회귀계수가 0.729로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통계적으로는 부모 소득이 1% 높아지면 부모가 자녀와 1주일에 한 번 이상 대면접촉할 가능성이 2.07배나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다른 14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두 변수 사이에 오히려 부(-)의 관계가 확인됐다. 우리나라처럼 정(+)의 관계를 보인 호주.스페인.폴란드 등도 그 정도가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한마디로 한국만이 부모의 소득이 높아야 자녀들이 찾아온다는 뜻이다.
또 한국인들은 돈은 가족에게 먼저 빌리는데 비해 정서적 도움은 친구나 동료들에게 주로 구하는 등 부모나 친족과의 관계가 매우 '도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세훈 동아대 교수는 '가구 구성 및 주거 실태를 통해 본 주택공급 재편 방안' 논문에서 "공동주택의 미분양 사태가 경기 침체에 따른 일시적 현상이 아닌 만성적, 고질적 현상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고 진단했다.
그는 홀로 사는 1인 가구의 비중은 지난 80년 4.8%에서 2005년 20%로, 2인 가구는 10.5%에서 22.2%로 급증하는 등 가구 규모와 가구당 주거 소요 면적이 계속 작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소형 아파트 공급은 오히려 줄고 중대형만 급증하면서 구조적 '부조응'과 주거 공간의 과소비, 주택자원의 사회.경제적 낭비가 심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2005년 현재 아파트와
다세대주택의 미분양.미입주로 인한 빈집 비율은 각각 38%, 23.9%에 이르고 있다.
서민들에게 중대형 평수가 '그림의 떡'이라는 사실은 윤일성 부산대교수의 '주택유형과 자가소유의 동학' 논문에서도 확인된다.
2005년 현재 전국 50평이상 대형 아파트 소유자의 직업별 분포는 ▲전문직.관리직 74.0% ▲판매직.서비스직 10.5% ▲사무직 9.6% ▲생산직 4.8% 등으로 집계됐다.
일반적으로 고소득층인 전문.관리직은 40~49평과 30~39평 역시 각각 62.1%, 49.9%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진호
아주대학교 교수의 '최근 한국 인구이동의 특징과 변화' 논문은 수도권 인구 분산정책이 별다른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이에 따르면 2000∼2005년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으로 들어온 순유입 인구는 53만9천명으로 집계됐다. 기간별 수도권 순유입 인구는 ▲ 1965∼1970년 96만9천명 ▲ 1975∼1980년 97만1천명 ▲ 1985∼1990년 92만5천명 ▲1995∼2000년 24만9천명 등으로, 1995∼2000년 크게 줄었으나 이후 다시 급증하는 모습이다.
이밖에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오는 2020년 50세이상 고령층이 남성 경제활동참가자 가운데 40%를 차지한다는 전망(김태헌 교원대 교수), 남성 노인들의 자살률(10만명당)이 2005년 32.88명으로 급증했다는 분석(유정균
한양대학교 석사과정) 등도 소개됐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