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한민국 1% 부자들은 누구? | |||||||||||||||||||||
연소득 1억3천만원…여윳돈 월 평균 800만원 | |||||||||||||||||||||
대한민국에서 돈을 가장 잘버는 1% 계층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매일경제신문은 11일 매분기 수집되는 통계청 가계수지 원자료를 입수해 `대한민국 1% 부자`의 소득ㆍ소비구조, 연령, 직업군 등을 자체 분석했다. 우선 `대한민국 1% 부자` 가구의 연평균 소득은 2006년 기준 1억8276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가구는 월평균 100만원 이상을 외식 공연관람 등 문화생활에 쓰고 있었다. 평균적인 가장 모습으로는 대학에서 공학을 전공한 40대가 가장 많았다. 소득 상위 1%에 들기 위한 커트라인은 1억302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소득이 이에 못미친다면 소득 상위 1% 안에 들 수 없다는 뜻이다. 분석 대상이 된 소득 범위에는 보통소득(근로ㆍ사업소득)뿐만 아니라 금융소득 등 다양한 잡소득이 모두 포함돼 있다.
2007년 3분기 월 평균 소득 1508만원 가운데 근로소득은 899만원으로 60%에 못미쳤다. 나머지는 재산소득 등 가외소득으로 구성됐다. 재산소득이란 재산을 소유함으로써 발생하는 부동산 임대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등을 뜻한다. 통계 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상류층은 임시소득 비중이 일반가구보다 높다"며 "거액을 상속받아 일시적으로 1% 안에 진입한 가구 등이 가외소득 평균치를 높였을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자산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재산소득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관찰됐다. 전체 평균 재산소득은 월 6만6000원에 불과했지만 1%들의 평균 재산소득은 40만원을 웃돌았다. 1% 고소득층은 각종 재테크 활동을 통해 얻는 소득이 상당하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각종 경제활동에서 `부자 1%`가 갖는 의미는 각별하다. 그 자체가 막강한 소비ㆍ재테크 주체일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는 소비ㆍ재테크 스타일을 선도하는 `풍향계`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문화ㆍ예술ㆍ레저 트렌드에 미치는 영향력도 만만치 않다. 기업들은 `1% 부자`들을 파악하는 데 막대한 돈과 시간을 쏟아붓는다. 이들을 알아야 제대로 된 마케팅 전략을 짤 수 있는 데다 최근 들어서는 고소득층을 상대로 한 `황제 마케팅` 중요도가 매우 높아졌기 때문이다. 소득분배, 경제적 양극화와 관련된 경제 정책 측면에서도 `부자 1%` 비중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어떻게 분석했나 이번 분석에서 말하는`대한민국 1% 부자`란 전국 총가구인 1615만8000가구를 소득순으로 1등부터 1615만8000등까지 나열한 뒤 상위 16만1580등까지 가구를 의미한다. 통계청에서 2만1642개(2007년 3분기 기준)의 가구 표본 자료를 제공받아 상위 1%를 떼어내 따로 분석했다. 표본을 전국 가구로 확대하기 위해 표본별로 통계청이 만든 가중치를 부여했다. 한 가구(주민등록상 한 집에 거주)를 구성하는 모든 가구원의 소득이 포함됐기 때문에 일을 하는 가구원이 많을수록 소득 순위가 올라갈 확률이 높다.
|
연수입 8448만원 넘으면 상위5% | |||
◆대한민국 1%부자 그들은◆
그렇다면 내 가정은 어디쯤 될까. 월소득 합계 700만원, 연봉 8448만원을 넘는다면 상위 5%에 들 수 있고 연봉 4711만원을 넘는다면 상위 25%에 들 수 있다. 또 4264만원을 넘는다면 상위 40% 안으로 들어간다. 연봉 산출 기준은 3분기 평균 월소득에 12를 곱한 값으로 전체 연봉과는 다소 오차가 있을 수 있다. 2인 이상 전국 가구의 평균 연봉 3938만원의 위치는 대략 상위 34% 선이다. 고소득자들이 전체 평균을 올려놓아 평균 소득자들의 위치가 높게 형성됐다. 정확한 중간 수준, 즉 상위 50%의 월소득은 251만원이다. 연봉으로 따지면 3000만원을 약간 넘는 수준이다. |
자산기준 1%부자는 23억 넘어야 |
◆대한민국 1%부자 그들은◆ `대한민국 1% 부자`를 파악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다. `돈을 가장 잘 버는 1%`를 기준으로 삼을 수도 있지만 `돈이 가장 많은 1%`를 `대한민국 1% 부자`로 볼 수도 있다. 전자가 소득을 기준으로 삼았다면 후자는 순자산(총자산-총부채)을 따져 1% 부자를 파악한 것이다. 국회 재경위 소속 이한구 한나라당 의원이 이달 초 발표한 분석자료는 통계청의 `2006년 가계자산보고서`를 근거로 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한국에서 순자산 순위 1% 안에 들어가기 위한 가구별 최저 순자산액은 23억200만원인 것으로 분석됐다. 같은 기준으로 순자산 상위 5%, 10% 이내의 가구별 최저 순자산액은 각각 9억4846만원과 5억3861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참고로 전체 가구 평균 순자산액은 2억4164만원이었다. 특히 전체 가구 중 3.83%는 순자산이 마이너스(-)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들의 평균 부채액은 2290만원으로 확인됐다. 자산에는 현금뿐만 아니라 골프ㆍ스포츠회원권, 주택 등 부동산이 포함된 것이다. 조사원이 파악한 거래 시세를 통계에 반영했다. 이 의원 측은 순자산 순위를 매긴 결과 최상위 20%와 최하위 20%의 최저 순자산액은 각각 8억2680만원, 480만원으로 나타나 그 비율(자산 5분위 배율)이 무려 171.5배에 달했다고 밝혔다. 다만 순자산액을 기준으로 부자순위를 매기는 데는 몇 가지 한계가 있다. 우선 조사과정에서 부채나 재산 규모를 줄여서 답변하는 사례도 있다는 점, 표본크기가 9300가구에 불과하다는 점 등은 통계청 가계자산 조사의 한계점으로 꼽히고 있다. 지금 당장은 재산이 적지만 풍족한 소비생활을 즐기는 계층에 대한 파악도 어렵다. 예컨대 일부 전문직종은 축적된 재산은 많지 않지만 소비수준은 매우 높다. 미래에 예상되는 소득이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의 소비행태를 `과소비`로 볼 수는 없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이들은 일정 시간이 흐르면 부자그룹에 속할 가능성이 아주 높다. 심지어 미래소득을 근거로 부채를 지고, 이를 통해 풍족한 소비행태를 즐기는 계층도 적지 않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통계 전문가들은 경제적 불평등 정도를 따질 때 자산액보다는 주로 소득액을 기준으로 활용한다. 경제적 양극화나 불평등 정도를 측정하는 수치인 `지니계수(Gini`s coefficient)`도 기본적으로 소득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
반응형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년뒤 IMF 위기 다시 온다! (0) | 2008.01.10 |
---|---|
강남5구의 탄생 (서울시 각구별 대통령 지지도) (1) | 2007.12.21 |
부자들은 지금 베팅한다 (연기는 엄청나지만 그 밑에는 작은 불만 있을 뿐...) (0) | 2007.12.16 |
1%부자들, 275㎡ 집에 살고 뮤지컬은 로열석서 즐긴다 (0) | 2007.12.13 |
보험설계사 월소득 305만원 ‥ 외국계 평균은 511만원 (0) | 2007.12.13 |
"한국에서만 부모 돈 없으면 자녀들이 외면" (0) | 2007.12.11 |
부자의 길 바로 이것이다 - 부자학 개론 (0) | 2007.12.10 |
알기쉬운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0) | 2007.11.28 |
알기쉬운 엔 캐리 트레이드 (0) | 2007.11.28 |
2030년까지 집값은 계속 오른다. (0) | 2007.11.17 |
댓글